본문 바로가기

Sophist Atelier

(1725)
봄의 대곡선과 봄철 대삼각형 봄철 하늘에는 수많은 별자리들이 있지만 두드러지는 밝기를 자랑하는 별들을 묶어 표현하는 말들이 계절마다 있습니다. 보통은 삼각형, 사각형 형태로 보여지는데 오늘은 봄철의 대표적인 별들의 모임인 '봄의 대곡선'과 '봄의 대삼각형'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말그대로 곡선으로 배치된 별과,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별을 말하는 것입니다. 봄의 대곡선 봄의 대곡선은 큰곰자리 북두칠성의 '알카이드'와 목동자리의 '아르크투르스', 처녀자리의 '스피카'를 연결한 곡선을 일컫습니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부분을 활모양의 곡선으로 연장해보면 하늘에서 세번째로 밝은 아르크투르스를 만나게 되고 더 연장해서 나가면 거성 스피카를 만나게 됩니다. 봄의 대삼각형 봄철 대삼각형은 봄의 대곡선에서 얘기햇던 목동자리의 '아르크투르스', 처녀..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지면 벌어지는 일 일상생활을 하는 우리는 잘 깨닫지 못하지만 지구는 상당히 빨리 회전을 합니다. 지구의 회전을 자전이라고 하는데 위도에 따라 회전 속도는 다르지만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 표면은 1,670km/h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참고글 : 지구 자전 속도와 공전 속도 지구 자전 속도와 공전 속도 계산해 보았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매 순간 느끼는 것이 '시간 참 빨리 간다'라는 것입니다. 지난 1년 되돌아보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 정도로 세월 참 빠른 것 같습니다. 하루도 마찬가지입니다. 어제, 그제 되 sophist.entinfo.net 이 속도 덕분에 우리는 하루를 24시간으로 규정하고 살게 되었고 현재의 생활패턴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혹시 지구 자전 속도가 현재보다 상당히 빨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
생명을 가진 천체는 지구가 유일할까 “이 넓은 우주에서 오직 지구에서만 생명이 존재한다면 그건 공간의 낭비가 아닌가?” 이 말은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이 주로 했던 말입니다. 영화 콘택트에도 같은 말이 나옵니다. 크기조차 가늠할 수 없는 이 드넓은 우주에서 생명이 살고 있는 천체가 과연 이토록 작은 지구 하나뿐일까? 라는 생각은 의문을 갖기에 충분하죠. 많은 천문학자들이 관측을 통해 또는 수학적 증명을 통해 또는 관념을 통해 우리 지구 밖 생명체의 존재를 찾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생명을 가진 천체는 정말 지구가 유일할까요? 외계인이 존재할 가능성 의외로 많은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합니다. 그럼 그들을 왜 우리는 볼 수 없는가라는 질문에는 우리곁으로 오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다라..
케플러 법칙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마지막 점성술사이자 첫 천체물리학자라고 불리는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와 운동을 아름답게 정리한 케플러 법칙(Kepler’s laws of planetary motion)을 만든 위대한 천체물리학자입니다. 케플러 법칙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이라고 불리는 케플러 법칙은 이미 우리에게 너무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학교 교과과정을 통해서도 케플러의 법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케플러 법칙은 3가지입니다. 아래에서 이 법칙들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보세요. 케플러 제 1법칙 : 타워 궤도의 법칙. 행성은 타원을 궤도로 공전하고 타원 궤도의 두 초점 중 한 곳에 항성이 존재한다는 법칙. 케플러 제 2법칙 :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 항성과 행성을 연결하는 선분이 같은 시간 동안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면적은 일정하..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벌어지는 일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떻게 될까?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 지구를 비롯한 많은 행성, 항성과 같은 천체는 자전을 합니다. 한 축을 중심으로 천체가 회전하는 것을 자전이라고 합니다. 이런 자전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그리고 이 자전이 멈추면 어떤 일이 생기게 될까요? 먼저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많은 과학자들이 그 원인을 설명하고 있는데요. 가장 설득력 있는 두 가지 가설을 소개하겠습니다. 내핵과 외핵의 회전 영국 리즈대 필립 리버모어 박사는 유체인 외핵이 내핵의 자전방향과 반대로 움직여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었습니다. 지구는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조가 구분됩니다. 외핵은 액체이고 내핵은 고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밤하늘을 오염시키는 인공위성들 아래 사진은 어떤 것을 표현한 것 같은가요? 이 사진은 2020년 우주사진 당선작 중 하나로 헝가리 출신의 Rafael Schmall의 작품입니다. 중앙에 밝은 별은 백조자리의 베타 별인 알비레오(Albireo)입니다. 그리고 세로로 긴 줄은 인공위성들의 이동 흔적을 장노출로 만든 것입니다. 흡사 알비레오 별을 최신 기술의 산물인 인공위성이 감옥처럼 가둔 것 같은 형상입니다. 이 사진이 재밌다고 생각되는 한편, 조금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우리 하늘에 저렇게 많은 인공위성이 있으며 그 인공위성들이 우주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늘에 떠 있는 인공위성 수 도대체 우리의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인공위성이 있는걸까요? 우주환경감시기관 NSSAO에 따르면 현재..
사람처럼 표정 짓는 로봇들 로봇과 인공지능의 발전은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미국의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Raymond Kurzweil)은 “2045년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성을 앞질러 싱귤래리티(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한다는 예언을 했습니다. 이건 단순히 추정일까요? 현재 만들어지는 로봇과 인공지능의 수준을 보면 그저 대략적으로 말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단순히 반복 동작만을 하는 공장형 로봇에서 사람처럼 행동하는 로봇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사람처럼 표정 짓는 로봇들이 나와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 어떤 로봇들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인간 표정을 흉내내는 로봇 EVA Columbia Engineering의 Creative Machines Lab에서 인간의 표정과 일치하는 부드럽고 표현력이 풍부한 얼굴을 가진 새로운..
사막개미를 본따 만든 GPS없는 이동 로봇 ‘Antbot’ 사막 개미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Antbot 만약 어떤 이동하는 로봇을 만든다면 이전에는 필히 GPS를 달고 현재 위치를 파악하면서 움직이도록 하였습니다. GPS는 인간에게도 아주 유용한 위치탐지 센서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 GPS입니다.(관련글 : 상대성이론을 실생활에 적용해 만든 GPS시스템) 이 GPS 없이 돌아다니며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로봇을 만들었습니다. ‘Antbot’이라는 로봇입니다. 어떤 원리를 이용했을까요? 사막개미를 닮은 Antbot Antbot은 약 2.3kg 무게의 다리가 6개 달린 로봇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흡사 거미로봇처럼 보이지만 개미 로봇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Antbot을 사막 개미를 흉내 내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외모를 흉내 내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