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매거진

건설현장 임금체불 매커니즘 part2.

이번편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체불임금이 발생했을때 어떠한 일이 발생되는가 하는 것과 대처방법(이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이를 위한 것이다.) 예방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앞 편에서 얘기한 것처럼 건설노동자의 체불임금이 발생하는 이유는 덤핑수주로 인한 저가입찰에 의한 것과 비양심적인 업체 관리자에 의한 것으로 큰 범주내에서 구분 할 수 있다. 그래서 노동자만이 피해를 보게 되며 건설업체는 불투명성이 해소되지 않는한 끊임없이 발생하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럼 체불임금이 나타날 경우의 모습을 살펴보자.

가끔 뉴스상에서 건설현장 체불임금으로 인한 공사장 점거(유치권행사), 시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미 그때쯤에는 체불임금이 보통 3~4개월 밀렸다는 얘기다. 건설현장 임금체불이 워낙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노동자들도 의레 1~2달은 밀리는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육체노동을 하시는 이 노동자들은 워낙 배우시질 못하고 어디 든든한 빽도 없기 때문에 오로지 임금체불을 혼자서 거대한 회사를 상대해야 하기에 보통 대화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들 있다. 그래서 보통 체불임금문제가 발생될 때에는 현장에서는 한 3~4일전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정보가 시공업체 직원들 귀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이즈음 스트라이크가 일어나는 날짜도 구체적으로 파악이 된다. 그래서 대기업같은 시공업체 직원들은 슬슬 긴장하게 된다. 곪아터진 문제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상황을 해결방안도 없이 무작정 기다리는 것이다.

왜 해결방안이 없느냐? 돈을 풀면 되지 않느냐라고 묻는분이 계시다면 저의 얘기를 잘 들어주시길 바란다. 체불임금의 원인은 아까 말한것과 같다. 시공사에서 업체들에게 돈을 지불하였으나 업체는 관리자가 돈을 슬쩍했던지 아니면 워낙 손실금이 커서 노임을 지불하지 못하는 경우와 시공사에서 돈을 내보내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시공사에서 돈을 내보지지 않았을때에는 며칠안에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자와 같은 경우는 시공사에서 이미 해당 기성금을 지불하였으므로 더이상 지불할 이유가 없을때 해결방안이 없는 것이다.(최소한 원도급자에게는)

스트라이크 당일 이미 작업자들은 출근함과 동시에 '함바(현장내 식당)'에서 소주를 들이키기 시작한다. 현장에 작업투입하는 인원은 없다. 돈을 받지 못한 팀들이 모여 아침부터 깡소주를 까는 것이다. 이러는 이유는 힘없는 근로자들이 돈을 받기위해 험한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순박하신 분들이 맨정신으로는 자신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술기운에 난장판을 한번 만들어 시공사를 압박하고자 하는 목적때문이다. 실제로 이 근로자는 해당 공종 업체에서 고용되어 있는 분들이라 미수금발생시 해당 공종 업체를 찾아감이 옳지만 그렇지 않다. 시공사를 압박하는게 더 빠르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때문인지는 몰라도 노동부에서는 현장 근로자는 본 시공사와 근로계약서를 체결하게 된다. 그래서 자신은 00건설의 이름을 보고 일하는 것이고 근로계약서도 00건설과 체결했다는 것을 주장하게 된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자신이 단종 업체의 일을 해주면서도 그 업체가 부도등의 사유로 돈을 지불 못받을 경우 원도급시공사를 압박하는 레파토리이다.

오전내내 술을 마시고 슬슬 한두명씩 현장사무실로 들어오기 시작한다. 떼거지로 몰려오는게 보통의 모습이다. 그래서 술냄새를 풍기며 날리는 첫 말,
"소장님 좀 뵈러 왔습니다." 
이미 우리는 알고 있다. 소장님은 이미 대피해 있던지 아니면 자리를 지키고 계신다. 그러면 나같은 사람(팀장급)이 출동한다.
"무슨일로 오셨습니까?"
"돈을 못받아서 돈 받으러 왔습니다."
"어느 업체에서요?"
"00에서 불러서 일을 해줬는데 몇달간 돈을 못받았습니다. 여기에서 해결해 주십시요"
여기까지가 보통 흐르는 멘트이다. 첨에는 상대방을 파악하느라 조용조용 예를 지키면서 말한다.

그리고나서 나는 일단 사무실을 점거하는 것을 막기위해 이렇게 말한다.
"일단 저희가 확인해 볼테니 내려가서 기다리세요"
이렇게 말해 내려갈것 같으면 문제도 아니다.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서 말한다.

이쯤되면 이제 무리중 중간쯤 서 있는 사람이 욕설을 내뱉기 시작한다. 그리고 근처 소파나 응접테이블에 눕거나 앉는다. 점거하겠다는 의미이다. 욕설은 빠지지 않는다. 소리를 빽빽 질러댄다. 사무실에서 담배도 뻑뻑 피워댄다. 근처 직원들에게 협박성 행동을 하기 시작한다. 현장직원들이라 해봐야 기사, 대리들은 나이가 20~30대이다. 수많은 직원들이 겁을 먹기 시작하고 사무실은 동요되기 시작한다. 이때 초동대처를 잘해야 한다. 최대한 정중한 말투로 앉아서 기다리시라든지 회의실에 가 계시라든지 유도를 하고 이 말을 무시하고 시끄럽게 굴거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따끔하게 혼을 내줘야한다. 물론 그런 사람에게만... 그 무리 전체를 혼을 내서는 역효과만 있을 뿐이다. 나에게 욕설을 하고 반말을 하거나 금연지역에서 흡연을 하는 사람은 1~2번 정중하게 제지를 하다가 버럭 화를 내주어야 한다. 물론 그분들의 입장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분들이 나를 모욕하거나 담배를 펴도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이~ 어저씨. 담배 꺼.. 담배피려면 나가서 펴.. "
이렇게 말하면 둘중 하나이다. 나가던가 대들던가... 나가도 좋고 대들어도 좋다. 어떤 경우라도 나에게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대들면 같이 싸우는 것이다. 같이 반말과 욕설을 한다. 겁을 내서는 안된다. 눈동자도 흔들리지 않는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마음속에는 '난 이분들을 도울 것이다. 그러나 무례한것과 비합리적인 것은 참지 않을 것이다.'라는 주문을 외워야 가능하다. 그분들을 도우려는 마음이 없이는 그런 자신감도 나오지 않는다.

서로 싸움이 붙어도 열에 아홉은 폭력을 쓰지 않는다. 이분들도 폭력을 쓰게 됨으로써 자신에게 돌아오는 피해를 너무도 잘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본능은 술을 먹어도 없어지지 않는다. 그런것을 보면 이들이 얼마나 사회의 음지에서 처절하게 자신과 자신의 가족을 지키기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들은 절대 약자이다.

간혹 폭력을 쓰는분이 있다.(술이 너무 과해서..) 그렇다고 같이 폭력을 쓰면 안된다. 맞아도 죽지 않는다. 좀 아플뿐이지... 이것은 상대방의 약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그정도 제어가 안되는 사람들에게는 경찰을 불러주는게 제일 좋다. 경찰을 불러 그 분은 밖으로 보내고 오야지(반장)하고 대화에 나서면 협상이 잘 이루어진다.

그리고 시공사 직원들은 노임체불한 업체에 전화를 걸어 상황을 확인한다. 절반은 전화를 받지 않는다. 통화가 되면 책임자를 현장으로 불러들여 작업자들을 설득하게 한다. 이 작업자들은 지금당장 돈을 받는 것보다 언제 받을수 있는지 확약을 받고 싶어한다. 지금당장 지불할 수 있는 업체는 바로 개개인별로 노임을 확인하고 계좌번호를 받아 하루내에 입금을 시켜준다. 이런 경우는 거의 30~4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지불기간이 1달후로 넘어가거나 확약을 해줘도 작업자들이 믿지 못하여 즉시 입금을 원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시공사가 업체에 압력을 가한다. 최대한 작업자들의 요구에 가깝도록 업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그러면 협상이 된다. 시공사에서 보증을 서게 되는 것이다. 이 보증의 방법으로 시공사에서 직접 작업자들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이 있다. 일명 '직불처리' 원래는 어음이 해당업체로 지불되어야 하나 이 어음을 시공사 직원이 받아서 어음깡을 한 다음 그 현금을 작업자에게 직접 일일이 나눠주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엄청난 에너지 소비를 낳는다. 시공사 직원은 거의 2~3일간 업무가 마비되고 직불처리에 온 신경을 쓰게 되는 것이다.

협상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들은 난동을 부리게 된다. 집기들을 때려부수거나, 직원들의 멱살을 잡기 시작하고 업무를 방해한다. 그리고 심할 경우 창문을 깨트리고 사무실내에서 소화기를 터트린다. 옷을 벗고 눕거나 타워크레인 같은 곳에 올라가 농성을 벌인다.(제발 이런 위험한 것은 말았으면 좋겠다. 술먹고 올라가서 떨어지면 사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칼로 협박을 하거나(본인도 이런 협박을 많이 받았다. 인천 앞바다에 던진다는 사람도 있었고 가족을 몰살시킨다는 사람도 있었다.) 어떤 놈(?)들은 사무실에서 옷을 홀라당 다 벗고 똥을 누는 사람도 있었다. ㅡㅡ (치우는 사람이 무슨 죄인가. 치우는 사람도 어차피 근로자인데) 실제로 십여년전에는 직원들이 칼맞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기억을 거슬러 내가 20살때 현장 일용직으로 아르바이트 하면서 나도 노임을 떼인적이 있었는데 목수들과 같이 사무실을 쳐들어가 사무실을 부수고 불지르고 했던 적이 있었다. 그땐 뭣모를때였지만 지금보다 분명 과격했다. 나도 그런 사람중 하나였기 때문에 그분들의 마음을 잘 안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이런 난동은 결과가 절대 좋지 못하다. 일단 경찰이 연행을 하게 되고 이분들은 불행하게도 시공사에 피해보상을 해줘야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관련 업체에서 피해보상을 하지만 업체가 부도나서 공중분해된 경우에는 이 작업자들을 보호해줄 곳이 없다. 물론 이런경우는 극히 드물다. 작업자들도 자신에게만 손해라는 것을 너무도 잘알고 있으므로....

이런 난동을 여러차례 겪으면서 이 작업자들을 선동하는 사람중 대다수는 업체 직원들이라는 충격적인 사실도 배우게 되었다. 이는 이 작업자들을 앞에 세워 역으로 시공사와 협상하기 위해서이다. 자신들이 처리할 능력이 없다면서 시공사로부터 돈을 더 받아내려는 전략이다. 그래서 현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실제로 이 업체가 손해가 나는 것인지 지불할 능력이 있으면서 일부러 뒤에서 주동하는 것인지 면밀하게 판단해야 한다. 이런 작전에 말려들어 자신이 속한 회사에 피해를 주면 안되기 때문이다.

돈 앞에서는 20년지기 친구도 적이 된다.
내가 겪은 사람중에 단일공종 소장이 자신의 친구를 반장으로 데리고 왔는데 20년간 같이 일했던 사람이라고 자랑스럽게 소개하더니 어느날 그 반장에게 회사가 돈을 지불하지 못하게 되자 20년지기 친구는 서로 멱살을 잡았다. 그리고 그 반장은 기어코 그 소장에게 돈을 받아서는 떠났다. 그 나이 50넘은 소장은 그날밤 나와 술을 마시면서 울었다.

이렇듯 건설현장은 구조기술, 디자인, 공법, 땀의 노력보다는 돈이 지배하는 곳이다. 임금체불로 인해 야기되는 볼성사나운 모습들을 지켜보고 해결하면서 스스로 돈의 노예가 되지 말자고 다짐했다. 물론 그 작업자들에게는 그 돈이 자신의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목숨과도 같은 것이다. 그러나 작업자든지 대기업직원이든지 돈의 노예가 되면 자신을 추한 모습으로 만들어버리고 가족의 생계를 위한 투쟁일 경우 자신을 추하게 만들면서까지 가족을 지키고 싶은 아름다운 희생이 되는 것이다.

이 사회는 늘 최하위 약자들이 피해를 보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그 구조안에서 사회구성원들은 자신도 모르는 메커니즘에 의해 울고 웃는다.

부조리한 세상의 메커니즘 그것은 부유한자들이 만든 탐욕의 산물이다.

-fin.-